목록Home (91)
짜리몽땅 매거진
문자열 데이터 응용하기 문자열 바꾸기 'kook,junho'.replace('kook','kuk') # '문자열'.replace('바꿀문자열','새문자열') 'kuk,junho' 'kook,junho'.replace(',','/') # 기호도 문자열이기 때문에 replace 사용 가능 'kook/junho' 'k o o k j u n h o'.split() # split 함수를 사용해 문자열을 분리할 수 있다. # 기본적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나눈다. # split 함수는 문자열을 나눠서 출력할 때 리스트에 넣어준다. ['k', 'o', 'o', 'k', 'j', 'u', 'n', 'h', 'o'] 'k/o/o/k/j/u/n/h/o'.split('/') #이처럼 하나의 문자열에 나눈 기호와 split 괄호..
2차원 리스트&문자열 2차원 리스트 a=[[1,2],[3,4],[5,6]] a [[1, 2], [3, 4], [5, 6]] for i in a: print(i) [1, 2] [3, 4] [5, 6] for i,j in a: print(i,j,end=' ') 1 2 3 4 5 6 반복문을 2번 사용해서 2차원 리스트 출력하기 for i in a: for j in i: print(j,end='') print() 12 34 56 반복문을 2번 사용하되, for range 사용해 2차원 리스트 출력하기 for i in range(len(a)): for j in range(len(a[i])): print(a[i][j],end='') print() 12 34 56 while 사용해서 리스트 출력하기 i=0 whil..
리스트 컴프리헨션, 2차원 리스트 sum 을 이용한 요소들의 합 구하기 a=[1,2,3,4,5] a [1, 2, 3, 4, 5] sum(a) 15 kk=0 for i in a: kk+=i print(kk) #kk라는 a의 요소들의 합을 나타내는 변수가 반복문 안에 입력되면 원하는 값을 출력할 수 없음. 계속해서 kk가 0으로 다시 시작함. 15 리스터 컴프리헨션 -리스트 안에 한 줄을 표현하는 것. 조금 더 간결하게 코드를 줄여서 작성하는 것 a=[i for i in range(10)] # = for i in range(10): print(i) a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if문, 즉 조건식이 있는 경우 [식 for 변수 in range(횟수) if 조건식] a=[i f..
중첩반복문, 리스트 응용 중첩반복문 for i in range(5): for j in range(5): if j==i: print('*', end='') else: print(' ', end='') print() * * * * * print() 공배수 문제 풀기 for i in range(1,51): print(i)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for i in range(1,51): if i%2==0: print('국준호') elif i%5==0: print('쿡쭈노') elif i%..
break, continue를 활용한 반복문 제어 break, continue 반복문 for, while 문을 제어 break : 흐름 중단 continue : 전체 반복문 흐름 유지, 조건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건너뛴다. break i=0 while True: print(i) i+=1 if i==10:#무한루프를 방지하고자 조건식을 지정 break 0 1 2 3 4 5 6 7 8 9 for i in range(100): print(i) if i==15: break #조건식이 반드시 있어야만 break 을 실행할 수 있다.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ntinue for i in range(10): print('국준호') if i%2==0: con..
루프인덱스를 활용한 반복문 응용 for/while, 랜덤함수 반복문 인덱스와 루프인덱스 접목 a=['축구','야구','농구','배구','탁구'] a ['축구', '야구', '농구', '배구', '탁구'] a[0] '축구' print(a[0]) 축구 print(a[0]) print(a[1]) print(a[2]) print(a[3]) print(a[4])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탁구 for i in range(5): print(a[i])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탁구 for i in a: print(i) #range 함수를 이용하지 않고 시퀀스객체 자체로 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탁구 len(a) 5 for i in range(len(a)): print(i) 0 1 2 3 4 for i in..
조건문 elif, for range 문 조건문 elif #if 하나를 마무리 짓기 위해 다시 if를 사용하는 것보다 elif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 a=int(input('번호를 고르세요 : ')) if a==1: print('축구') elif a==2: print('야구') else: print('농구') 번호를 고르세요 : 2 야구 반복문 print('hello') hello print('hello')+print('hi') #출력할 때는 산수계산으로 출력하면 오류난다 hello hi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TypeError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 ~\A..
딕셔너리, if 조건문 딕셔너리 키, 값 kook={'a':100,'b':200, 'c':'hello'} kook {'a': 100, 'b': 200, 'c': 'hello'} 'c'in kook # in 함수를 이용해 키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가능 True 'd' not in kook True len(kook) #딕셔너리에 len함수를 이용하면 키 개수만큼 결과 나옴 3 if조건문 a=10 a 10 if a==10: print('손흥민 중거리 골') #if 조건문 형식에서 출력할때 들여쓰기 필수 손흥민 중거리 골 if a==11: print('이강인 감아차기') #a가 11이 아니므로 코드 출력 안함. a=10 #if조건문을 여러개 쓰는 경우, 옳은 조건문에 해당하는 값만 출력함 if a>10: pr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