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Home (91)
짜리몽땅 매거진
인덱스, 딕셔너리 인덱스 b=[1,2,3,4,5] b[0] 1 b[-2] #뒤에서부터 인덱스 설정은 -1,-2 등으로 표현 4 b (1, 2, 3, 4, 5) len(b) 5 b[4] 5 b[len(b)-1] #len을 이용해 마지막 인덱스를 출력할 수 있다 5 인덱스를 이용해 값을 할당할 수 있다 b[0]=100 b [100, 2, 3, 4, 5] b[2]=300 b [100, 2, 300, 4, 5] 인덱스를 삭제할 수 있다 del b[0] b [2, 300, 4, 5] b[0] 2 슬라이스 사용하기 b[0,1] #한번에 두개이상 인덱스 출력은 안된다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TypeErro..
문자열과 리스트, 튜플 시퀀스 자료형 인덱스 리스트 리스트는 모든 자료형이 다 들어갈 수 있다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담아준다. a=[1,2,3,4,5] #리스트는 대괄호를 사용한다 a [1, 2, 3, 4, 5] a=[] b=list() a [] b [] range 범위를 뜻하는 range 원하는 숫자 범위만큼을 쉽게 나타낼 수 있다. 주의할 점: 범위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0부터 출력되며, 항상 범위의 끝 수는 출력되지 않는다. range(10) range(0, 10) a=list(range(10)) a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 range(시작, 끝) range(시작, 끝, 증가폭) 으로 다양하게 표현 가능! list(range(0, 30)) [0, 1, 2, 3, 4, ..
변수, 불린값, 논리연산자 변수와 변수 입력 x=10 --> x에 10을 할당한다는 개념 *다양한 값을 넣을 수 있다. x=10.4 x 10.4 type(x) --> 데이터 형태를 보는 법 type(x) float x, y, z=100, 200, 300 print(x) print(y) print(z) 100 200 300 x=y=z=100 print(x) print(y) print(z) 100 100 100 변수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. a=10 b=20 c=a+b c 30 산출 연산 후 할당 연산자 a=10 a=a+20 a=a+20 a 50 d #선언하지 않았으므로 에러 input() 를 활용해 유저가 작성한 값을 변수에 저장 가능!! input() 5 '5' #input()은 문자열을 디폴트값으로 인..